티벳의 분교 (苯教)

티벳의 평균 해발은 4,500m 가 넘는 산들이 많고, 세계의 지붕 또는 설역고원 이라고 할 만큼 주변 환경이 열악한 상황속에서 살아왔습니다. 그러한 이들에게 자연은 두렴움의 존재이면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고마운 존재였기에, 자연스럽게 자연을 숭배하게 되었고, 자연과 더불어 살아오게 되었습니다.

이들의 절기문화들이 대부분 원시신앙의 요소인 산, 물,동식물과 관련된 자연숭배, 정령숭배, 토테미즘으로 집약 된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 입니다.

티벳인들은 옛부터 산신,수신,지신, 천신 등을 섬기는 신령숭배가 많았으며, 이러한 각종 신령을 숭배하고 재물을 바치고, 제사를 드리고, 감사와 속죄를 표시하면서, 신령이 계속해서 보호해주기를 바랬습니다. 이러한 원시적인 종교 신앙은 ,불교가 티벳에 전해지기 오래전 부터 티벳에 뿌리를 내려 토착 종교가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분교(苯教)인 것입니다.

티벳 분교의 무사와 무당은 신과 인간을 연결시켜주는 대리자들입니다. 그들은 자연의 재앙을 해결해주는 해결사이면서 혼인, 장례 등을 관장하였고, 질병등을 치료해 주는 등 사람들의 삶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습니다. 당시의 이러한 무사와 무당의 권력은 막강햇고, 영향력은 절대적이었습니다.

이러한 분교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가 초자연적인 힘에 대한 신념과 경외를 표시하고, 감사와 기원을 드리는 데 신선한 피와 고기를 이용하였으며, 동물과 사람을 같이 순장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분교는 나중에 라마교와 분리되는 중요한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분교를 전래하고 기존의 원시 민간신앙들을 통합하고 조직화한 인물이 샹슝왕국의 왕자 센랍 미우체(辛饶米沃)입니다. 센랍 미우체는 분교의 교주로 추앙받고 있는 인물로서, 원래는 아라비아 출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센랍 미우체가 초창기 활동했던 무대는 현재의 티벳 아리 커얼현 먼스지역(阿里地区 )으로서, 초창기에는 재앙을 없애기위해 기도를 한다거나, 제사를 지내고 복을 기원하는 등 기본적인 원시종교의 의식에 제한되어있었습니다. 그러다 기원전후 본교는 동쪽의 야룽장푸강( 雅鲁藏布江) 유역까지 전해저 내려왔으며, 점점 티벳고원의 중요한 종교로서 세력을 넓혔습니다.

분교와 라마교는 아주 오랜시간 동안 서로 투쟁하면 지내왔으나, 분교의 생존과 발전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상당한 부분을 라마교의 내용과 형식을 받아드렸습니다. 그러기에 많은 사람들은 분교를 이미 라마교의 한 종류라고 생각하고 있으나, 종교계에서는 인정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통계에 의하면 티벳에 아직도 88개의 분교사원이 남아 있는데 창두지구에 55개 사원, 나취지구에 23개의 사원, 시가체에는 6개, 린번지구에는 2개의 사원이 현존하고 있으며, 라싸와 아리지역에도 각각 하나씩 사원이 남아있습니다.

티벳지역에서 분교의 흔적은 여전히 많이 남아 있습니다. 마을 입구나 고개 위에 올라가다 보면 오색깃발인 타루쵸를 볼 수 있느데, 이것이 분교의 흔적 들입니다.

Categories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티벳투어